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전 세계 '홍역 주의보'…국내 상황은?

2024-02-19 0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전 세계 '홍역 주의보'…국내 상황은?<br /><br />[앵커1]<br /><br />어떤 일에서 애를 먹거나 어려움을 겪을 때 흔히 "홍역을 치렀다"라고 말을 하죠. 홍역이 얼마나 독했으면 이런 말까지 생겨났을까 싶은데요.<br /><br />[앵커2]<br /><br />그런데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전염병 홍역이 최근 세계 곳곳에서 확산 중이라고 합니다. 질병관리청에 나가 있는 뉴스캐스터 연결해서 점검해 보겠습니다. 모세원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네, 오늘은 양진선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과 만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가장 먼저 세계적으로 홍역의 유행 상황 어느 정도인 건가요?<br /><br />[양진선 /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]<br /><br />코로나19가 대유행을 했었던 2020년 전이었던 2019년에 전 세계에서 홍역 환자가 53만 명이 발생할 정도로 큰 유행이 있었습니다. 이후에 코로나19 대유행기 동안에는 마스크를 쓰고 또 거리두기하고 또 국가 간에 교류가 줄어들면서 홍역 환자의 발생이 거의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이 기간에 많은 국가들에서 예방 접종률이 좀 떨어지고 또 최근 해외 교류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홍역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 전 세계에서 약 30만 명 정도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, 특히 유럽 지역 같은 경우는 작년 한 해만 5만8,000여 건의 환자 발생이 있었는데 이는 유럽 지역 기준으로 2022년 대비 60배 정도 증가한 수치라고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 사람들이 좀 많이 여행하시는 서태평양 지역에서도 작년에 5,000여 건 이상의 홍역 환자 발생이 있었고 또 최근에는 홍역을 퇴치한 국가에서도 미접종자들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에서 좀 산발적인 발생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설 연휴 방역에 만전을 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. 우리나라 상황은 어떤가요? 확산세가 잡힌 건가요?<br /><br />[양진선 /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]<br /><br />우리나라는 2006년에 정부에서 자체적으로 홍역 퇴치를 선언했었고 2014년에는 세계보건기구가 우리나라를 홍역을 퇴치한 국가로 인증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에 이제 국내에서 발생한 홍역 환자는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해외에서 감염이 되어 들어오시거나 또는 이분들과 접촉을 해서 감염된 사례로 조사가 되었습니다.<br /><br />2019년에 전 세계적으로 좀 유행이 있다 보니까 국내에서도 194명의 환자가 있었고, 2020년에서 2022년 사이에는 해외유입 환자도 없다가 작년에 8명 그리고 올해는 현재까지 6명의 환자가 신고가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참고로 이제 홍역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이루기 위해서는 예방접종률이 95%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, 우리나라는 이미 이제 96% 정도의 접종률을 달성하고 있고 또 정부가 백신이나 신속한 역학조사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홍역 환자에 대해서 국민들께서 깊은 관심을 가져주시되 지나치게 과도한 불안감을 가지실 필요는 없으실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저도 어린 시절에 홍역을 앓았던 기억이 있는데요. 이 홍역이 도대체 뭔지, 또 어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의심을 해봐야 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[양진선 /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]<br /><br />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급성 또는 열성 발진성 감염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 그러니까 홍역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했을 때 공기 중에 이제 침방울 속에 바이러스가 섞여서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되는 형태로 전파가 되는데 홍역은 전파력이 굉장히 강한 감염병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홍역 환자와 접촉을 했을 때는 90% 이상의 확률로 감염될 수 있는 호흡기 감염병입니다. 감염되면 10일에서 12일 정도 잠복기를 지나서 발열, 기침, 콧물 그리고 결막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.<br /><br />그리고 홍역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코플릭 반점이 있는데, 구강 점막에 회백색의 모래알 같은 반점이 생기고 이후에는 귀 뒤에서부터 몸통 그리고 팔, 다리로 전신에 선홍색의 발진이 생겨납니다.<br /><br />다만 최근에 보고되고 있는 사례는 코플릭 반점이 없다거나 또는 전신의 발전이 좀 경미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홍역을 비롯한 다른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은 어떤 게 있을까요?<br /><br />[양진선 /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]<br /><br />호흡기 감염병 그러니까 코로나19나 인플루엔자 특히 홍역과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추천드리는 것은 예방접종입니다. 특히 홍역 같은 경우는 국내에서 퇴치된 감염병으로 국민들께서 알고 계셔서 그런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좀 유행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계신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신데요.<br /><br />그래서 본인이 이제 해외여행을 계획하시기 전에 4내지 6주 전에 본인의 예방접종력을 꼭 확인하시고 만약에 예방접종을 하시지 않으셨다면 한 달 간격으로 2번 정도 접종을 하시고 해외여행 가실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.<br /><br />그리고 해외여행 다녀오셔서도 만약에 발열이나 발진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마스크를 쓰시고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셔서 의료진에게 본인의 해외여행력을 알려드리고 진료를 받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감사합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모세원 캐스터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